밍키넷 45.kissjav.me ヵ 밍키넷 사이트メ 밍키넷 트위터ィ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소채린 작성일25-09-16 12:44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42.yadongkorea.me 0회 연결
-
http://18.yadongkorea.help 0회 연결
본문
밍키넷 59.yadongkorea.click ポ 밍키넷パ 밍키넷 링크メ 밍키넷 사이트モ 밍키넷 사이트ズ 밍키넷 같은 사이트ム 밍키넷 트위터ヱ 밍키넷 우회ヌ 밍키넷 우회ニ 밍키넷 우회ポ 밍키넷 주소찾기ゾ 밍키넷 검증ィ 밍키넷 최신주소チ 밍키넷 새주소ウ 밍키넷 트위터ユ 무료야동사이트ニ 밍키넷 링크ヅ 밍키넷ゥ 밍키넷 검증ヮ 무료야동ダ 밍키넷 같은 사이트ヱ 밍키넷 새주소ャ
편집자주
2023년 2월 한국일보의 세 번째 베트남 특파원으로 부임한 허경주 특파원이 ‘아세안 속으로’를 통해 혼자 알고 넘어가기 아까운 동남아시아 각국 사회·생활상을 소개합니다. 거리는 가깝지만 의외로 잘 몰랐던 아세안 10개국 이야기, 격주 금요일마다 함께하세요!
6일 베트남 하노이의 쇼핑몰 탄산음료 코너에서 한 시민이 제품을 고르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베트남의 청소년 비만 증가 속도는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은 2021년 보고서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슬롯총판
는 특히 콜라, 에너지드링크 등 설탕 첨가 음료를 문제 삼았다. “베트남 어린이 3분의 1 이상이 하루 한 잔의 설탕 음료를 마신다. 이로 인한 과체중은 아이들의 건강은 물론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게 당시 유엔의 경고였다.
3년 뒤, 세계보건기구(WHO)도 “별다른 조치가 없다면 베트남의 설탕 음료 소비는 2028년까지 연평균 온라인 릴게임 정보
6.4%씩 늘고, 이로 인해 비만·당뇨·심장병이 급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기구가 잇따라 경고음을 울리자 베트남 정부는 올해 6월 설탕 섭취 억제 방안이 담긴 특별소비세법 개정안을 꺼내 들었다. 2027년부터 시중 판매 청량음료 중 100㎖ 당 당류 5g 이상이 들어간 제품에 8%의 특별소비세를 부과하고, 2028년부터 세율을 10%인터넷증권
로 올리는 게 핵심이다.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쇼핑몰에서 아이들이 주스와 밀크티 등 설탕이 든 음료를 마시며 대화하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정부의 강한 의지 속에 베트남 국회는 지난 7월 본회의에서 신천지게임
찬성 448표, 반대 6표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2014년에도 관련 논의가 이뤄졌지만 업계의 거센 반대로 국회 근처에도 가지 못했던 것과 달리, 10여 년 만에 정반대 분위기가 조성된 셈이다. 현지 언론들도 “국민 건강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정부의 결정을 거들면서 탈(脫)설탕 움직임에 한층 속도가 붙고 있다.
동남바다이야기5만
아 대부분 시행·검토 중
‘설탕세’ ‘비만세’ ‘콜라세’. 이름은 제각각 다르지만 결국 뜻은 같다.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당 음료 소비를 세금으로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대상은 설탕이 다량 함유된 탄산음료, 과일 음료, 커피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세금은 기업이 설탕 사용을 줄이거나 제품 가격을 올리도록 압박해 소비자 구매를 억제하는 수단이 된다. 담뱃세로 흡연율을 낮춘 것과 유사한 논리다.
설탕세는 이제 세계적 흐름이 됐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노르웨이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만 시행됐지만, WHO가 2016년 도입을 권고한 이후 최소 117개국으로 확산됐다. 동남아시아도 발 빠르게 동참했다. 지금까지 6개국이 설탕세를 도입했다. 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브루나이는 리터(ℓ)당 설탕 함유량에 따라 차등 과세하고, 라오스·캄보디아는 음료 종류별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6일 베트남 하노이의 쇼핑몰 음료 코너에서 시민들이 제품을 고르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베트남은 도입을 기정사실화했고, 인도네시아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정책을 검토 중이다. 싱가포르는 세금 대신 고당 음료 광고 전면 금지와 경고 라벨 의무화 방식으로 규제 고삐를 조이고 있다. 사실상 미얀마를 제외한 모든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가 ‘설탕과의 전쟁’에 뛰어들었다.
각국이 음료 속 설탕 규제에 열을 올리는 것은 건강 악화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동남아 국가는 무더운 기후 탓에 청량음료 수요가 많은 편이다. 여기에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소득이 늘자 가당 음료 소비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설탕 음료 소비는 1996년 5,100만 리터에서 2014년 7억8,000만 리터로 15배 급증했다. 베트남 기관지 년전(인민)도 “1인당 연간 가당 음료 소비량은 2013년 34억4,000만 리터에서 2023년 66억7,000만 리터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고 보도했다.
그만큼 당류 섭취량도 치솟았다. 말레이시아 연구팀은 지난 5월, 자국 성인이 음료만으로 하루 평균 59.1g의 설탕을 섭취한다는 결과를 내놨다. WHO 권장량(25g)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베트남(46.5g)과 인도네시아(50g)도 크게 다르지 않다.
비만 인구도 덩달아 빠르게 늘었다.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되는데, 동남아 각국의 비만 비율은 2000년대 초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브루나이는 18세 이상 인구 32%(2023년 기준)가 비만으로 동남아에서 가장 많았고, 말레이시아(22.41)%, 태국(15.44%) 싱가포르(13.97%), 인도네시아(11.52%)가 그 뒤를 이었다.
WHO는 “동남아 지역 비만율은 전 세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편이지만, 최근 10~15년 사이 증가세가 우려스러울 만큼 가파르다”며 “개인 건강뿐 아니라 국가 의료 역량까지 압박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2020년 말레이시아 경찰이 쿠알라룸푸르 경찰 본부에서 특별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운동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어린이 비만이 더 문제
눈에 띄는 것은 어린이·청소년 비만 증가세다. 베트남 아동 비만율은 평균 6.19%로 성인(2.04%)보다 세 배 높다. 성인만 놓고 보면 ‘전 세계에서 가장 날씬한 국가(200개국 중 200위)’로 꼽히지만, 아동 기준으로는 순위가 137위로 치솟는다. 프랑스, 일본, 네덜란드, 덴마크보다 살찐 아이가 많다는 뜻이다.
일간 뚜오이쩨는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의 아동 비만 증가율은 연 38%로 다른 아세안 회원국 증가율(연 10~20%)을 크게 웃돌았다”며 “대도시인 호찌민과 하노이는 비율이 각각 50%, 41%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여타 동남아 국가에서도 아동 비만율이 성인보다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다.
청소년 비만 원인으로는 운동 부족과 가당 음료 소비 급증이 공통적으로 꼽힌다. 베트남 전국 조사(2019년) 당시 13~17세 학생의 34%가 ‘하루 한 번 이상 탄산음료를 마신다’고 답했다. 태국·필리핀·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6개국 청소년 3만6,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20%는 하루 1회 이상, 18%는 2회 이상 설탕 첨가 음료를 마신다고 응답했다.
지난달 31일 베트남 하노이 시내에서 아이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음료를 마시며 길을 걷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살이 찌는 것보다 더 큰 문제는 질병이다. 응우옌 뚜언 럼 WHO 박사는 “청년들 사이에서 단 음료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설탕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과다한 섭취는 비만뿐 아니라 대사질환,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미래 세대의 만성질환이 늘면서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각국이 ‘세금’이라는 강수를 꺼내든 배경이다.
그렇다면 세금을 올린 조치는 실제 효과를 냈을까. 2017년 아시아 최초로 설탕세를 도입한 태국은 일단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설탕 함량 14g 초과 음료 제품은 2018년 819개에서 올해 0개로, 10~14g 사이 제품은 2,993개에서 524개로 급감했다. 반면 세금이 면제되는 6g 이하 음료 수는 90개에서 4,736개로 늘었다. 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음료 내 설탕 함유량을 대폭 낮춘 결과다.
지난달 31일 베트남 하노이 거리에서 한 여성이 주스를 팔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그러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설탕 음료 가격 상승이 주 소비층인 서민·저소득층 비용 부담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는 매출 감소와 고용 축소, 소비 위축을 우려하며 설탕세 도입 철회를 주장한다.
인도네시아가 당초 올해 7월 설탕세를 도입하려다 내년으로 미룬 것도 같은 맥락이다. 페브리오 카차리부 인도네시아 재무부 정책국장은 현지 매체에 “설탕세 목표는 공중보건이지만 거시경제 정책 우선순위와도 일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민 물가에 미칠 파급효과를 고려해 연기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효과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티 이 시옹 말레이시아 영양학회 전 회장은 현지 일간 프리말레이시아투데이에 “징벌적 조치(설탕세)가 소비자를 가당 음료에서 멀어지게 하고 더 나은 선택지로 이끌었다는 증거는 없다”며 “사람들은 채찍보다는 당근을 더 선호한다”고 꼬집었다. 비만 문제를 운동이나 교육 대신 증세로만 풀려는 접근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마트에 우유가 진열돼 있다. 우유팩 색상에 따라 달지 않은 맛, 조금 단 맛, 매우 단 맛 등으로 나뉜다. 지난 7월 베트남 국회를 통과한 특별소비세법 개정안 '설탕세' 부과 항목에서 우유는 제외됐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하노이=글·사진 허경주 특파원 fairyhkj@hankookilbo.com
2023년 2월 한국일보의 세 번째 베트남 특파원으로 부임한 허경주 특파원이 ‘아세안 속으로’를 통해 혼자 알고 넘어가기 아까운 동남아시아 각국 사회·생활상을 소개합니다. 거리는 가깝지만 의외로 잘 몰랐던 아세안 10개국 이야기, 격주 금요일마다 함께하세요!
6일 베트남 하노이의 쇼핑몰 탄산음료 코너에서 한 시민이 제품을 고르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베트남의 청소년 비만 증가 속도는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은 2021년 보고서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슬롯총판
는 특히 콜라, 에너지드링크 등 설탕 첨가 음료를 문제 삼았다. “베트남 어린이 3분의 1 이상이 하루 한 잔의 설탕 음료를 마신다. 이로 인한 과체중은 아이들의 건강은 물론 국가 경제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게 당시 유엔의 경고였다.
3년 뒤, 세계보건기구(WHO)도 “별다른 조치가 없다면 베트남의 설탕 음료 소비는 2028년까지 연평균 온라인 릴게임 정보
6.4%씩 늘고, 이로 인해 비만·당뇨·심장병이 급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제기구가 잇따라 경고음을 울리자 베트남 정부는 올해 6월 설탕 섭취 억제 방안이 담긴 특별소비세법 개정안을 꺼내 들었다. 2027년부터 시중 판매 청량음료 중 100㎖ 당 당류 5g 이상이 들어간 제품에 8%의 특별소비세를 부과하고, 2028년부터 세율을 10%인터넷증권
로 올리는 게 핵심이다.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쇼핑몰에서 아이들이 주스와 밀크티 등 설탕이 든 음료를 마시며 대화하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정부의 강한 의지 속에 베트남 국회는 지난 7월 본회의에서 신천지게임
찬성 448표, 반대 6표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2014년에도 관련 논의가 이뤄졌지만 업계의 거센 반대로 국회 근처에도 가지 못했던 것과 달리, 10여 년 만에 정반대 분위기가 조성된 셈이다. 현지 언론들도 “국민 건강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정부의 결정을 거들면서 탈(脫)설탕 움직임에 한층 속도가 붙고 있다.
동남바다이야기5만
아 대부분 시행·검토 중
‘설탕세’ ‘비만세’ ‘콜라세’. 이름은 제각각 다르지만 결국 뜻은 같다.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당 음료 소비를 세금으로 억제하겠다는 것이다. 대상은 설탕이 다량 함유된 탄산음료, 과일 음료, 커피가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세금은 기업이 설탕 사용을 줄이거나 제품 가격을 올리도록 압박해 소비자 구매를 억제하는 수단이 된다. 담뱃세로 흡연율을 낮춘 것과 유사한 논리다.
설탕세는 이제 세계적 흐름이 됐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노르웨이 등 일부 유럽 국가에서만 시행됐지만, WHO가 2016년 도입을 권고한 이후 최소 117개국으로 확산됐다. 동남아시아도 발 빠르게 동참했다. 지금까지 6개국이 설탕세를 도입했다. 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브루나이는 리터(ℓ)당 설탕 함유량에 따라 차등 과세하고, 라오스·캄보디아는 음료 종류별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6일 베트남 하노이의 쇼핑몰 음료 코너에서 시민들이 제품을 고르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베트남은 도입을 기정사실화했고, 인도네시아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정책을 검토 중이다. 싱가포르는 세금 대신 고당 음료 광고 전면 금지와 경고 라벨 의무화 방식으로 규제 고삐를 조이고 있다. 사실상 미얀마를 제외한 모든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가 ‘설탕과의 전쟁’에 뛰어들었다.
각국이 음료 속 설탕 규제에 열을 올리는 것은 건강 악화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동남아 국가는 무더운 기후 탓에 청량음료 수요가 많은 편이다. 여기에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소득이 늘자 가당 음료 소비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설탕 음료 소비는 1996년 5,100만 리터에서 2014년 7억8,000만 리터로 15배 급증했다. 베트남 기관지 년전(인민)도 “1인당 연간 가당 음료 소비량은 2013년 34억4,000만 리터에서 2023년 66억7,000만 리터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고 보도했다.
그만큼 당류 섭취량도 치솟았다. 말레이시아 연구팀은 지난 5월, 자국 성인이 음료만으로 하루 평균 59.1g의 설탕을 섭취한다는 결과를 내놨다. WHO 권장량(25g)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베트남(46.5g)과 인도네시아(50g)도 크게 다르지 않다.
비만 인구도 덩달아 빠르게 늘었다.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되는데, 동남아 각국의 비만 비율은 2000년대 초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브루나이는 18세 이상 인구 32%(2023년 기준)가 비만으로 동남아에서 가장 많았고, 말레이시아(22.41)%, 태국(15.44%) 싱가포르(13.97%), 인도네시아(11.52%)가 그 뒤를 이었다.
WHO는 “동남아 지역 비만율은 전 세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편이지만, 최근 10~15년 사이 증가세가 우려스러울 만큼 가파르다”며 “개인 건강뿐 아니라 국가 의료 역량까지 압박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2020년 말레이시아 경찰이 쿠알라룸푸르 경찰 본부에서 특별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운동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어린이 비만이 더 문제
눈에 띄는 것은 어린이·청소년 비만 증가세다. 베트남 아동 비만율은 평균 6.19%로 성인(2.04%)보다 세 배 높다. 성인만 놓고 보면 ‘전 세계에서 가장 날씬한 국가(200개국 중 200위)’로 꼽히지만, 아동 기준으로는 순위가 137위로 치솟는다. 프랑스, 일본, 네덜란드, 덴마크보다 살찐 아이가 많다는 뜻이다.
일간 뚜오이쩨는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의 아동 비만 증가율은 연 38%로 다른 아세안 회원국 증가율(연 10~20%)을 크게 웃돌았다”며 “대도시인 호찌민과 하노이는 비율이 각각 50%, 41%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여타 동남아 국가에서도 아동 비만율이 성인보다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다.
청소년 비만 원인으로는 운동 부족과 가당 음료 소비 급증이 공통적으로 꼽힌다. 베트남 전국 조사(2019년) 당시 13~17세 학생의 34%가 ‘하루 한 번 이상 탄산음료를 마신다’고 답했다. 태국·필리핀·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6개국 청소년 3만6,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20%는 하루 1회 이상, 18%는 2회 이상 설탕 첨가 음료를 마신다고 응답했다.
지난달 31일 베트남 하노이 시내에서 아이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컵에 담긴 음료를 마시며 길을 걷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살이 찌는 것보다 더 큰 문제는 질병이다. 응우옌 뚜언 럼 WHO 박사는 “청년들 사이에서 단 음료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설탕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과다한 섭취는 비만뿐 아니라 대사질환,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미래 세대의 만성질환이 늘면서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각국이 ‘세금’이라는 강수를 꺼내든 배경이다.
그렇다면 세금을 올린 조치는 실제 효과를 냈을까. 2017년 아시아 최초로 설탕세를 도입한 태국은 일단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설탕 함량 14g 초과 음료 제품은 2018년 819개에서 올해 0개로, 10~14g 사이 제품은 2,993개에서 524개로 급감했다. 반면 세금이 면제되는 6g 이하 음료 수는 90개에서 4,736개로 늘었다. 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기업들이 음료 내 설탕 함유량을 대폭 낮춘 결과다.
지난달 31일 베트남 하노이 거리에서 한 여성이 주스를 팔고 있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그러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설탕 음료 가격 상승이 주 소비층인 서민·저소득층 비용 부담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는 매출 감소와 고용 축소, 소비 위축을 우려하며 설탕세 도입 철회를 주장한다.
인도네시아가 당초 올해 7월 설탕세를 도입하려다 내년으로 미룬 것도 같은 맥락이다. 페브리오 카차리부 인도네시아 재무부 정책국장은 현지 매체에 “설탕세 목표는 공중보건이지만 거시경제 정책 우선순위와도 일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민 물가에 미칠 파급효과를 고려해 연기를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효과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티 이 시옹 말레이시아 영양학회 전 회장은 현지 일간 프리말레이시아투데이에 “징벌적 조치(설탕세)가 소비자를 가당 음료에서 멀어지게 하고 더 나은 선택지로 이끌었다는 증거는 없다”며 “사람들은 채찍보다는 당근을 더 선호한다”고 꼬집었다. 비만 문제를 운동이나 교육 대신 증세로만 풀려는 접근이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6일 베트남 하노이의 한 마트에 우유가 진열돼 있다. 우유팩 색상에 따라 달지 않은 맛, 조금 단 맛, 매우 단 맛 등으로 나뉜다. 지난 7월 베트남 국회를 통과한 특별소비세법 개정안 '설탕세' 부과 항목에서 우유는 제외됐다. 하노이=허경주 특파원
하노이=글·사진 허경주 특파원 fairyhkj@hankook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