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10.kissjav.blog ド 밍키넷 커뮤니티テ 밍키넷テ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가훈설래 작성일25-09-14 01:42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22.yadongkorea.click 0회 연결
-
http://33.kissjav.click 0회 연결
본문
밍키넷 77.kissjav.blog ウ 무료야동ベ 밍키넷 주소찾기ヲ 밍키넷 사이트コ 밍키넷 커뮤니티リ 밍키넷 새주소ペ 밍키넷ガ 밍키넷 주소찾기ヂ 밍키넷 새주소ボ 밍키넷 링크テ 밍키넷 최신주소ベ 밍키넷 주소シ 밍키넷コ 밍키넷 검증サ 밍키넷 사이트イ 밍키넷 막힘ダ 밍키넷 트위터ョ 밍키넷 막힘ペ 밍키넷 막힘ィ 밍키넷 사이트ェ 밍키넷 주소찾기カ 밍키넷ガ
지난 4월 수원시 평동 벌말도당에서 진행된 경기도도당굿 공개행사. 쇠를 들고 춤을 추며, 굿판의 터를 지신밟기로 씻김을 하고 부정한 것을 몰아내는 ‘터불림’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제공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열풍이 좀처럼 식지 않는다. 수백년간 악마(귀마)가 인간의 영혼을 훔쳐왔고, 이에 맞서 헌터(사냥꾼)들은 노래를 통해 ‘혼문’이란 결계를 유지하며 인간 세상을 지켜 왔다. 과거엔 ‘무당’의 모습으로 혼문을 지켜 온 헌터들은 21세기엔 ‘케이팝 걸그룹’으로, 사람들의 영혼을 갉아먹는 귀마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에 맞서 자동차 무이자 노래를 부른다.
음악을 통해 사람들을 악으로부터 수호하는 ‘헌터’는 넷플릭스 세상 속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수백년 마을의 평화와 풍년, 안녕과 번영을 기원해 온 ‘도당굿’이 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도당’이란 과거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 또는 신을 모신 ‘당’을 일컬으며 신을 보통 도당할아버지, 도당 학자금추가대출가능한곳 할머니라 한다.
지난 4월 수원시 평동 벌말도당에서 진행된 경기도도당굿 공개행사. 오방기를 뽑게 하여 재수를 가려보고 대감을 기쁘게 함으로써 인간에게 재복을 주는 굿거리인 ‘신장대감굿 농협mi대출 ’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제공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은 경기도 지역에 전승돼 오는 마을굿이다. 무서운 분위기 속에서 샤머니즘에 기반한 무속 신앙을 펼칠 것 같은 이 세계에 전통 국악의 엘리트 코스를 밟고 현재는 대중음악을 작곡하는 싱어송 라이터로도 활동하는 영업사원 독특한 이력의 ‘청년 장인’이 있다. 경기도도당굿 전수자인 최민지씨(35) 이야기다.
“대학생 시절, 은사님이 ‘너희는 단단하고 뿌리가 깊은 나무가 돼라’고 했습니다. 은사님은 우리의 전통 굿에 관심이 많았는데 소중한 유산이 사라져 가는 것을 안타까워 하며 녹음기를 들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소리를 수집했습니다. 다음 삼협농산 해 교수님이 돌아가셨고 ‘나의 뿌리’는 무엇일까 고민하며 도당굿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4월 수원시 평동 벌말도당에서 진행된 경기도도당굿 공개행사. 관객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신명을 풀어내는 체험의 시간인 ‘무감’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제공
그녀는 경기도도당굿을 전수하고 계승하는 단체인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공개시연을 처음 접하며 충격에 빠졌다. 흥겨운 노랫가락에 따라 누군가는 막걸리를 마시고, 누군가는 자유롭게 춤을 추는 한바탕 ‘축제’였다.
“도당굿은 신내림을 받아 개인의 요청으로 진행되는 굿판과는 사뭇 다릅니다. 마을에 우환이 있거나 고을이 더 잘 살기 위해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주민들이 ‘올 한 해도 감사했고, 내년 한 해도 별 탈 없이 잘 되게 해주세요’와 같은 축원을 비는 일종의 마을 축제입니다. ”
경기도도당굿은 수원의 고색당, 평동당, 영동시장의 거북산당 등에서 당주나 상인회의 요청을 받아 음력 정월이나 3월 또는 10월에 진행된다. ▲‘미지’라 불리는 무당 ▲재담꾼이 돼 사람들에게 흥을 북돋아 주거나 신령이 왔음을 알려주는 존재인 ‘화랭이’ ▲대금, 해금, 피리 등 음악을 연주하고 장단을 맞추며 굿판에 색을 더하는 ‘악사’ 세 부분 중 어느 하나를 빼놓고는 완성되지 않는다. 국가무형유산 이수 심사를 볼 때도 미지·화랭이·악사가 한 팀을 이뤄 심사를 본다. 특히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화랭이들이 굿을 하며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예술성이 뛰어나 전통문화연구에 귀중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 받는다.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 전수 장학생이자 ‘악사’인 최민지씨가 해금을 켜고 있다. 윤원규기자
최씨는 국악중·고, 서울대 국악과를 나와 20년간 해금을 전공했지만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무대를 보며 처음으로 우리 가락의 진정한 ‘매력’을 느꼈다. 틀에 갇히지 않는 굿의 매력에 푹 빠져 평생 처음 느껴본 ‘자유로움’을 맛봤다. 비로소 우리 음악에 진정한 애정을 느낀 것이다. 처음 보존회의 문을 두드렸을 땐 악사 부문의 전승 교육사가 없어 꿈을 접어야 했다. 몇 년 후 다시 문을 두드렸을 때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아 ‘미지’로 1~2년간 교육을 받던 그녀는 이후 2021년부터 본격적인 ‘악사’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저는 경기도도당굿의 ‘꽃도령’입니다.” 과거 경기도도당굿은 미지는 여자, 화랭이와 악사는 남자의 영역으로 구분돼 있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성별의 구분은 희미해졌다. 그녀 역시 도령의 모습으로 멋진 갓을 쓰고 해금을 연주하면서 동시에 미지의 배움을 풀어내며 소리도 곁들이는 만능 재주꾼이다.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 전수자이자 ‘악사’인 최민지씨. 윤원규기자
“전통음악을 전공한 지 20년이 훌쩍 지났지만 돌이켜보면 ‘유산’을 지킨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기도도도당굿을 배우며 처음으로 ‘내가 어쩌면 죽을 때까지 아무 핑계 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생겼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굿은 ‘경계’가 없습니다. 정형화된 악보보단 즉흥적인 게 훨씬 많습니다. 무엇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마을의 평화를 위해 모두가 함께 흥을 풀어내고 진심을 다해 기원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낍니다.”
이르면 이달 다가올 이수심사를 앞두고 최씨는 보존회 사람들과 미지, 화랭이, 악사로 하나의 팀을 이뤄 매일 같이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 미지이자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승경숙 회장, 악사 전수교육사 등 세대를 뛰어넘어 선생님들과의 교감은 그에게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 동시에 일상에선 자신의 작업실에서 음악 제작활동에도 여념이 없다.
최민지씨가 평소 스튜디오에서 음악 작곡 및 제작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본인 제공
그녀가 꿈꾸는 건 전통음악과 자유로움의 경기도도당굿, 대중 음악 사이의 연결지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이 대중성과 만나 전 세계를 사로잡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보며 큰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언젠가 저 역시 그러한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 오랜 시간 대중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독창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음악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왼쪽부터)‘악사’인 최민지씨와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승경숙 회장이자 ‘미지’(무당)가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연습실에서 소리를 펼치고 있다. 윤원규기자
●관련기사 : 광대 왔소, 줄을 서시오…줄타기 이수자 ‘한산하’ [청년 장, 전통을 잇다①]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02580306
“열 네살에 매료된 양주별산대놀이, 이젠 운명”…이수자 ‘윤동준’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②]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5580062
“세밀함의 예술, 완성에 끝이 없어”…불화장 전수자 ‘정수현’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③]https://kyeonggi.com/article/20250217580401
“마을의 뿌리, 우리가 지키는 것”…화성팔탄민요 전수자 ‘이정민’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④]https://kyeonggi.com/article/20250330580077
3대에 걸쳐 전하는 입사의 매력…‘빛이 된 금과 은의 향연’ 입사 전수자 ‘박승준’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⑤]https://kyeonggi.com/article/20250417580239
“옹기의 매력, 세계에 알릴 것”…‘옹기장’ 전수자 김희건씨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⑥]https://kyeonggi.com/article/20250525580289
“악기 만드는 데 뛰어든 판소리 고수”… 한수산 경기도무형유산 ‘악기장’ 전수자 [청년장인, 전통을 잇다⑦]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813580374
이나경 기자 greennforest21@kyeonggi.com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열풍이 좀처럼 식지 않는다. 수백년간 악마(귀마)가 인간의 영혼을 훔쳐왔고, 이에 맞서 헌터(사냥꾼)들은 노래를 통해 ‘혼문’이란 결계를 유지하며 인간 세상을 지켜 왔다. 과거엔 ‘무당’의 모습으로 혼문을 지켜 온 헌터들은 21세기엔 ‘케이팝 걸그룹’으로, 사람들의 영혼을 갉아먹는 귀마 보이그룹 ‘사자보이즈’에 맞서 자동차 무이자 노래를 부른다.
음악을 통해 사람들을 악으로부터 수호하는 ‘헌터’는 넷플릭스 세상 속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수백년 마을의 평화와 풍년, 안녕과 번영을 기원해 온 ‘도당굿’이 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도당’이란 과거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 또는 신을 모신 ‘당’을 일컬으며 신을 보통 도당할아버지, 도당 학자금추가대출가능한곳 할머니라 한다.
지난 4월 수원시 평동 벌말도당에서 진행된 경기도도당굿 공개행사. 오방기를 뽑게 하여 재수를 가려보고 대감을 기쁘게 함으로써 인간에게 재복을 주는 굿거리인 ‘신장대감굿 농협mi대출 ’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제공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은 경기도 지역에 전승돼 오는 마을굿이다. 무서운 분위기 속에서 샤머니즘에 기반한 무속 신앙을 펼칠 것 같은 이 세계에 전통 국악의 엘리트 코스를 밟고 현재는 대중음악을 작곡하는 싱어송 라이터로도 활동하는 영업사원 독특한 이력의 ‘청년 장인’이 있다. 경기도도당굿 전수자인 최민지씨(35) 이야기다.
“대학생 시절, 은사님이 ‘너희는 단단하고 뿌리가 깊은 나무가 돼라’고 했습니다. 은사님은 우리의 전통 굿에 관심이 많았는데 소중한 유산이 사라져 가는 것을 안타까워 하며 녹음기를 들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소리를 수집했습니다. 다음 삼협농산 해 교수님이 돌아가셨고 ‘나의 뿌리’는 무엇일까 고민하며 도당굿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4월 수원시 평동 벌말도당에서 진행된 경기도도당굿 공개행사. 관객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신명을 풀어내는 체험의 시간인 ‘무감’이 펼쳐지고 있다.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제공
그녀는 경기도도당굿을 전수하고 계승하는 단체인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공개시연을 처음 접하며 충격에 빠졌다. 흥겨운 노랫가락에 따라 누군가는 막걸리를 마시고, 누군가는 자유롭게 춤을 추는 한바탕 ‘축제’였다.
“도당굿은 신내림을 받아 개인의 요청으로 진행되는 굿판과는 사뭇 다릅니다. 마을에 우환이 있거나 고을이 더 잘 살기 위해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주민들이 ‘올 한 해도 감사했고, 내년 한 해도 별 탈 없이 잘 되게 해주세요’와 같은 축원을 비는 일종의 마을 축제입니다. ”
경기도도당굿은 수원의 고색당, 평동당, 영동시장의 거북산당 등에서 당주나 상인회의 요청을 받아 음력 정월이나 3월 또는 10월에 진행된다. ▲‘미지’라 불리는 무당 ▲재담꾼이 돼 사람들에게 흥을 북돋아 주거나 신령이 왔음을 알려주는 존재인 ‘화랭이’ ▲대금, 해금, 피리 등 음악을 연주하고 장단을 맞추며 굿판에 색을 더하는 ‘악사’ 세 부분 중 어느 하나를 빼놓고는 완성되지 않는다. 국가무형유산 이수 심사를 볼 때도 미지·화랭이·악사가 한 팀을 이뤄 심사를 본다. 특히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화랭이들이 굿을 하며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예술성이 뛰어나 전통문화연구에 귀중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 받는다.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 전수 장학생이자 ‘악사’인 최민지씨가 해금을 켜고 있다. 윤원규기자
최씨는 국악중·고, 서울대 국악과를 나와 20년간 해금을 전공했지만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무대를 보며 처음으로 우리 가락의 진정한 ‘매력’을 느꼈다. 틀에 갇히지 않는 굿의 매력에 푹 빠져 평생 처음 느껴본 ‘자유로움’을 맛봤다. 비로소 우리 음악에 진정한 애정을 느낀 것이다. 처음 보존회의 문을 두드렸을 땐 악사 부문의 전승 교육사가 없어 꿈을 접어야 했다. 몇 년 후 다시 문을 두드렸을 때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아 ‘미지’로 1~2년간 교육을 받던 그녀는 이후 2021년부터 본격적인 ‘악사’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
“저는 경기도도당굿의 ‘꽃도령’입니다.” 과거 경기도도당굿은 미지는 여자, 화랭이와 악사는 남자의 영역으로 구분돼 있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성별의 구분은 희미해졌다. 그녀 역시 도령의 모습으로 멋진 갓을 쓰고 해금을 연주하면서 동시에 미지의 배움을 풀어내며 소리도 곁들이는 만능 재주꾼이다.
국가무형유산 경기도도당굿 전수자이자 ‘악사’인 최민지씨. 윤원규기자
“전통음악을 전공한 지 20년이 훌쩍 지났지만 돌이켜보면 ‘유산’을 지킨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경기도도도당굿을 배우며 처음으로 ‘내가 어쩌면 죽을 때까지 아무 핑계 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생겼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굿은 ‘경계’가 없습니다. 정형화된 악보보단 즉흥적인 게 훨씬 많습니다. 무엇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마을의 평화를 위해 모두가 함께 흥을 풀어내고 진심을 다해 기원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낍니다.”
이르면 이달 다가올 이수심사를 앞두고 최씨는 보존회 사람들과 미지, 화랭이, 악사로 하나의 팀을 이뤄 매일 같이 연습에 매진하고 있다. 미지이자 경기도도당굿보존회의 승경숙 회장, 악사 전수교육사 등 세대를 뛰어넘어 선생님들과의 교감은 그에게 깊은 울림을 주고 있다. 동시에 일상에선 자신의 작업실에서 음악 제작활동에도 여념이 없다.
최민지씨가 평소 스튜디오에서 음악 작곡 및 제작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 본인 제공
그녀가 꿈꾸는 건 전통음악과 자유로움의 경기도도당굿, 대중 음악 사이의 연결지점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이 대중성과 만나 전 세계를 사로잡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보며 큰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언젠가 저 역시 그러한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 오랜 시간 대중에게 사랑받을 수 있도록 독창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음악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왼쪽부터)‘악사’인 최민지씨와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승경숙 회장이자 ‘미지’(무당)가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연습실에서 소리를 펼치고 있다. 윤원규기자
●관련기사 : 광대 왔소, 줄을 서시오…줄타기 이수자 ‘한산하’ [청년 장, 전통을 잇다①]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02580306
“열 네살에 매료된 양주별산대놀이, 이젠 운명”…이수자 ‘윤동준’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②]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5580062
“세밀함의 예술, 완성에 끝이 없어”…불화장 전수자 ‘정수현’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③]https://kyeonggi.com/article/20250217580401
“마을의 뿌리, 우리가 지키는 것”…화성팔탄민요 전수자 ‘이정민’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④]https://kyeonggi.com/article/20250330580077
3대에 걸쳐 전하는 입사의 매력…‘빛이 된 금과 은의 향연’ 입사 전수자 ‘박승준’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⑤]https://kyeonggi.com/article/20250417580239
“옹기의 매력, 세계에 알릴 것”…‘옹기장’ 전수자 김희건씨 [청년 장인, 전통을 잇다⑥]https://kyeonggi.com/article/20250525580289
“악기 만드는 데 뛰어든 판소리 고수”… 한수산 경기도무형유산 ‘악기장’ 전수자 [청년장인, 전통을 잇다⑦]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813580374
이나경 기자 greennforest21@kyeonggi.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